• Research
  • Team
  • Publications
  • Resources
  • 석/박사과정 학생과 학부생 인턴을 모집합니다! 우리 연구실에서는

    • 과학과 공학의 접경을 연구: 근원적 과학 현상을 규명하고, 이것을 바로 공학적으로 응용할 수 있습니다.
    • 적성과 취향에 따라 이론/시뮬레이션이나 실험 중 한 가지를 전문적으로 하거나, 둘 다 선택할 수 있습니다.
    • 해외 대학과의 국제 공동 연구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우리 연구실은 본인이 재미를 느끼는 연구, 권위에 기대지 않는 토론 분위기를 지향합니다. 큰 포부와 뛰어난 능력을 지닌 학생들의 연락을 기다립니다.

  • 연구 내용

    나노스케일에서 빛과 물질의 상호작용을 연구하고, 이를 이용해서 새로운 기능을 하는 광학적 전기적 소자를 개발합니다. 플라즈모닉스, 메타물질, 전자 광학의 분야의 근본적 연구를 통해 에너지 소자, 광집적회로, 센서, 바이오 이미징에 적용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자세한 연구 내용은 여기를, 나노광학 분야에 대한 개괄적 설명은 여기를 참고하세요.

  • 추천 수강 과목

    전자기학, 물리전자개론을 기초과목으로 수강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광학, 양자역학 및 고체물리에 관련된 물리학 지식도 도움이 되는데, 연구를 진행하면서 공부해도 충분합니다.


    Strongly Recommended
    MAS109 Introduction to Linear Algebra
    MAS201 Differential Equations and Applications
    MAS202 Applied Mathematical Analysis
    EE204 Electromagnetics, EE341 Electromagnetic Waves and Antennas
     (or PH231, PH232 Classical Electromagnetism I, II)
    EE452 Fundamentals of Photonics
     (or PH391 Optics, PH402 Laser Optics)
    EE647 Nanophotonics

    Recommended
    EE211 Introduction to Physical Electronics
    EE362 Semiconductor Devices
    PH301 Quantum Mechanics I (Optional: PH302)
    PH361 Solid State Physics I (Optional: PH462)
    EE463 Semiconductor IC Technology
    EE405B, EE405C Electronics Design Lab
    EE538 Neural Networks
    EE541 Electromagnetic Theory
     (or PH507, PH508 Advanced Electromagnetic Theory I, II)
    EE555 Optical Electronics
    EE661 Solid State Physics
    EE857 Special Topics in Optical Engineering


Join Us

We are looking for motivated postdoctoral scholars and graduate students with backgrounds in electrical engineering, physics, material science, and other related fields. Undergraduates are also welcome to apply to gain research experience. Please send your CV and academic transcripts to jang.minseok [at] kaist.ac.kr.

Contact Us

2221 E3-2, KAIST, 291 Daehak-ro
Yuseong-gu, Daejeon 34141 [ map ]
jang.minseok [at] kaist.ac.kr
(+82) 042-350-7439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 2015 Min Seok Jang Research Group | KAIST